퇴사 후 이직할 때 경력증명서를 제출해야하는데, 경력증명서 발급방법 4가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경력증명서 발급방법
경력증명서는 퇴사하고 나서 경력사항을 증명하는 것으로 입사일자, 최종직위, 주요업무, 퇴직사유 등 내용이 기재되어 있습니다.
1. 전직 회사에 경력증명서 발급 요청
회사의 내부문서로 전 회사의 담당직원에게 경력증명서를 요청합니다. 제출할 회사에서 팩스나 스캔본 제출이 가능하다고 하면 그대로 요청하여 받아서 제출하는 방법입니다. (직접 방문수령, 우편 가능)
2. 경력증명서 양식 다운
검색사이트에서 경력증명서 양식을 다운받은 후 내용을 기입하고 대표자 직인을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. (메일, 우편 등 이용)
전 직장이 폐업하여 경력증명서 발급이 안되거나 제출할 회사에서 회사명과 재직기간만 확인해도 된다면 4대보험증명서 혹은 국민연금 가입증명서를 제출해도 됩니다.
인터넷으로 경력증명서 발급방법으로 공인인증서&프린트가 있어야 합니다.
3. 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에서 증명서 발급
4대사회보험 정보연계센터(현재 시점의 자료만 확인가능)-> 증명서발급-> 가입자명부-> 증명서 신청/발급-> 공인인증서 로그인-> 가입내역확인서 청구내역 신청-> 증명서 신청이력 조회-> 새로고침-> 증명서 출력하면 됩니다.
4. 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에서 증명서 발급
국민연금공단-> 민원신청-> 개인민원-> 증명서 등 발급-> 가입증명서(국/영문)-> 개인 공인인증(공인인증서 설치)-> 국민연금가입내역-> 특정사업장 선택 가능-> 출력 혹은 팩스 전송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.
이것으로 경력증명서 발급방법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. 이용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오늘도 좋은 하루되세요.
2018/03/23 - [생활정보] - 퇴직금 지급기준 대상에 해당될까
2018/03/21 - [생활정보] - 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예외사항?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보육교사 자격증 분실 재발급 방법은? (0) | 2019.01.29 |
---|---|
토스 마이너스통장 이자 적용은? (0) | 2019.01.27 |
퇴직금 지급기준 대상에 해당될까 (0) | 2018.03.23 |
공동명의 통장 개설 및 해지 해야할까? (0) | 2018.03.22 |
고용보험 실업급여 조건 예외사항? (0) | 2018.03.21 |
댓글